분류 전체보기 (1622) 썸네일형 리스트형 "톡신 시술, 안정된 역가 갖춘 제품 선택해야" [인터뷰] 나공찬 대한미용성형레이저의학회장 엔데믹 전환 '쁘띠 시술' 수요 상승…보툴리눔 톡신, 20~60대 연령층 인기 톡신 시술 시 안전·유효성 입증 제품…정확하고 일관된 시술 효과 기대 [데일리팜=노병철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고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쁘띠시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쁘띠시술이란 보툴리눔 톡신, 필러, 실리프팅 등 비수술적 미용 시술을 일컫는 말로 절개에 대한 부담 없이 간단한 연고 마취를 통해 시술이 진행돼 비교적 안전하고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은 대한미용성형레이저의학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쁘띠시술을 연구하고 올바른 시술 문화 구축을 목표로 정기학술대회·강연 등을 개최하며, 매년 1000명 이상의 의.. 진흥원, 바이오코리아 진단분야 글로벌 세미나 [데일리팜=이혜경 기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국내 의료기기 진단분야 산업의 국제 공공조달 시장 및 글로벌 시장 진입 확대를 위해 시장정보와 전략을 제공하는 BIO KOREA 2023 연계 '진단분야 글로벌 세미나 및 좌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진단분야 주요 국제기구인 혁신적 진단기기 재단(FIND)과 보건복지부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며, 1부 행사인 진단분야 글로벌 세미나에서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 진입 확대를 위한 아프리카 시장정보, 국제조달 시장 진입 전략, FIND와 국내기업 협력사례 등 산업 및 시장 정보 제공한다고 밝혔다. 2부 행사인 진단분야 글로벌 좌담회에서는 산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국내 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국제협력 전략 및 한국의 .. 루닛, ASCO 202)서 연구초록 16편 발표 美 메이요클리닉, 日 국립암센터 등 세계 정상급 병원과 공동 연구 성과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은 다음달 2일부터 6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3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3)에서 연구초록 16편을 발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초록 16편 채택은 ASCO 2023에 참여한 전 세계 의료AI 기업 중 최다이며, 학회에 참여하는 국내기업 중에서도 가장 많은 숫자다.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는 지난 1964년 설립된 세계 최고 권위의 암 학회로, 매년 4만명 이상의 의료 관계자들이 참석하고 있다. 루닛은 지난 2019년부터 매년 ASCO에 최신 연구를 발표하고 있으며, 지난해 11편 채택에 이어 올해 가장 많은 16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됐다. .. 루트로닉, 1분기 매출 627억원…전년 대비 9.7% 증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4% 감소한 100억 원 루트로닉(대표 황해령)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627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전년 대비 9.7% 증가한 수치로, 1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이다. 루트로닉의 지난 1분기 매출액은 2021년 328억 원, 2022년 571억 원이었다. 국내 영업을 제외한 해외 매출은 556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1.2%가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6%다. 미국 법인은 16.4% 성장한 221억 원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의 35.2%를 차지했다. 독일 법인을 포함한 유럽 지역 매출은 15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3.1%가 감소했으나, 한국, 일본, 중국 법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에서 75억 원, 중동 지역에서 5.. 한국로슈진단, uPath PD-L1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출시 치료제 처방 대상과 일치하는 비소세포폐암 환자 확인 도와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은 지난 3일, 비소세포폐암에서 자동 AI 알고리즘으로 PD-L1 바이오 마커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uPath PD-L1(SP263)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Image Analysis Algorithm)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제품은 uPath enterprise 소프트웨어에 탑재돼 구동된다. 해당 제품은 포르말린 고정 후 파라핀 포매된 비소세포성 폐암(NSCLC) 조직에서 벤타나 PD-L1(SP263) 어세이로 염색된 슬라이드 이미지에서 병리학자의 PD-L1 단백질 검출과 반정량을 도와 이미 허가된 치료제 처방 대상과 일치하는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확인을 돕는 체외진단 소프트웨어이다. 폐암은 세계.. 베르티스, 노화 따른 혈액 단백체 분석 등 연구성과 2건 발표 아시아·오세아니아 단백체학회서 관련 포스터 발표사진설명: 1,233개의 혈액 단백질의 노화에 따른 발현 패턴.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5월 8일부터 10일까지 싱가포르 엑스포(Singapore EXPO)에서 열리는 '제11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단백체학회 학술대회'에 참가해 2건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8일 밝혔다. 베르티스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선보이는 연구 성과는 ▲노화에 따른 혈액 단백체 분석(Systematic analysis of blood proteome across the lifespan)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의 조기 진단용 단백질 바이오마커 탐색(Development of Serum Biomarker Panel for 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 1천 건 넘는 키트루다 병용투여 임상…올해도 '존재감' 확인 모더나와 mRNA 기술 통한 암백신 상용화 일보 전진 초기 비소세포폐암·요로상피암·위암 등서 추가 적응증 확대 기대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릴 의약품으로 꼽힌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가 올해 1분기에도 적응증 확장에 있어 그 위용을 뽐냈다. 키트루다는 전 세계적으로 1,000건이 넘는 병용투여 임상을 통해 18개 암종에 대한 38개의 적응증에서 암 치료제로 승인을 받은 상황. 또한 2022년~2025년 사이에 14개의 임상 3상을 시행하면서 수술 전·후 추가 새로운 적응증 확장을 노리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MSD는 최근 분기보고서를 통해 키트루다 병용투여 임상에 대한 규제 및 마일스톤을 발표했다. ◆ 흑색종 암백신 혁신 치료제 지정 .. 식약처,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가이드라인 개정·배포 [데일리팜=이혜경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유통‧사용기록 제출 사이트 변경, 사용기록 작성·제출 관련 개정 사항을 반영한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관리 가이드라인'을 배포한다다.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는 의료기기 사용 중 부작용 또는 결함이 발생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어 그 소재를 파악해 둘 필요가 있는 의료기기로서, 총 52개 품목이 지정돼 있다.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취급자와 사용자는 개정 가이드라인에서 유통‧사용기록의 작성‧보존‧제출 방법과 유의사항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통‧사용기록 작성 예시와 기록 제출 시스템 입력 방법, 주요 질의응답 사례 등을 함께 제공해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원활한 업무 처리에..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