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22) 썸네일형 리스트형 메디팹 3D 바이오 프린터 '바이오닉스' 출시 [데일리팜=이석준 기자] 메디팹은 3D 바이오 프린터 바이오닉스(Bionics)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바이오닉스는 분리형 스크류 타입(Screw Type) 압출기로 기존 공압방식 대비 정밀도 유지, 공간활용 및 소음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했다. 클린벤치 내부에 배치 가능한 사이즈로 특허 기술인 스크류 압출 방식을 도입했다. 정밀한 헤드 움직임, 풀메탈 바디, 무소음이 장점이다. 바이오닉스는 현재 각 대학 연구소, 의료기기 회사 등에 납품하고 있다.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타입의 제품 스펙을 받아 대체 생산 납품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메디팹은 바이오닉스를 이용해 생분해성 두개안면골 복원 보형물 의료기기 '휴스테온 (Husteon)'을 자체 생산 판매하고 있다. 차미선 메디팹 대표는 "바.. 바이오코리아 2023 개막...비즈니스 파트너링 성과 기대 10~12일 행사 기간동안 해외 기업과 24시간 온라인 미팅 진행 전시 참가 기업만 338개사...해외기업 102개 유치 [데일리팜=이혜경 기자] '바이오코리아 2023(BIO KOREA 2023)'이 10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과 충청북도(지사 김영환, 이하 충북도)가 공동 주최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바이오코리아가 오늘(10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된다.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한 바이오코리아는 국내 바이오헬스 분야의 우수한 기술을 세계에 알리고, 국내·외 기업간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논의가 이뤄지는 기술 교류의 장으로서 대한민국 대표 국제 컨벤션으로 성장해왔다. 올해 바이오코리아에는 51개국·729개 기업이 참여한다... 조직 정비 마친 '네이버클라우드'…디지털 헬스 본격 확장 AI 돌봄 서비스 '네이버 클로바 케어콜' 하반기부터 본격 출시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사 8곳과 태국 대형병원에 솔루션 진출도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자사 AI 기술을 접목한 노인 돌봄 서비스인 '네이버 클로바 케어콜(CLOVA CareCall)'을 오는 하반기부터 본격 출시한다. 사업 주체도 네이버클라우드가 맡게 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 류재준 총괄이사는 지난 10일 서울 삼성 코엑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네이버의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에서 향후 사업 방향을 소개했다. 클로바 케어콜 하반기부터 유료화 류재준 이사는 "오는 하반기 즈음 클로바 케어콜을 시장에 론칭할 계획"이라며 "지금까지는 시장에 무료.. "불면증도 디지털로 치료하는 시대"‥ 국내 2호 치료기기 품목허가 지원 케이메디허브, 실증지원사업 참여 기업 웰트㈜ 개발 제품 식약처 허가까지 받아내 케이메디허브 디지털헬스케어 실증지원사업에 참여중인 기업이 재단의 우수한 지원에 도움받아 국내 2호 디지털 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았다. 사진은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제품의 시연 모습을 가상으로 만들어본 자료.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 디지털헬스케어 실증지원사업에 참여중인 기업이 재단의 우수한 지원에 도움받아 국내 2호 디지털 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았다. 디지털헬스케어가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디지털기기의 효과를 인정받아 인허가 받는 과정이 굉장히 까다로워, 개발 기업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케이메디허브는 실증사업화팀을 두고 혁신의료기기 인허가와 건보등재 등을 지원 중이다.. "비대면 진료 제도화, 발전적 논의가 필요할 때" [인터뷰] 비대면 진료 앱 올라케어 이끄는 김성현 블루앤트 대표 "원칙적 반대 외치는 약사회, 산업계에 합의점 제시해줘야" 제도화 약속한 정치권도 빠른 합의 필요…"불확실성 제거해달라"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두고)공전을 거듭하는 건 모두에게 이롭지 않다고 봐요. 코로나19 기간 동안 한시적 특례를 통해 축적한 사회적 경험자산이 한 순간에 사라져 버릴 상황에 임박했습니다. 서로 합의할 수 있는 만큼 합의하고, 진행한 뒤 또 다시 합의해 나가는 발전적 논의가 필요합니다." 김성현 블루앤트 대표는 비대면 진료 제도화와 관련한 메디파나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합의'와 '타협'을 강조했다.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정치적 공방 보다 서로 앞으로 나아가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이유에서.. 코렌텍, 우성제약 인수 발표…제약사업 본격 진출 전문의약품 연구 개발업체 우성제약 지분 80% 인수 ㈜코렌텍은 9일 공시를 통해 ㈜우성제약의 지분의 80%인 2,304,000주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강석희 코렌텍 대표이사(사진 좌측)와 조환우 우성제약 대표이사가 계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 코렌텍(대표이사 강석희)이 우성제약을 인수하며 제약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한다. 코렌텍은 9일 공시를 통해 우성제약의 지분의 80%인 230만 4,000주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코렌텍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병원, 대리점 네트워크를 활용한 우성제약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인공관절 수술 전후에 활용할 수 있는 의약품과 관절 관련 치료제 개발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우성제약은 지난 2015년에 설립된 전문.. 원텍, 1분기 매출 285억 원…전년 대비 67.3% 증가 영업이익도 134억 원으로 전년 比 148.6%↑ 원텍은 2023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285억 원을 달성해 전년 동기 매출 171억원 대비 약 67.3%나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13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 53.8억 원 대비 약 148.6%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약 11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50.9억 대비 약 131.5% 증가했다. 특히 올해 1분기 실적에서 주목할 점은 '수익성'이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율은 46.8%, 당기 순이익율은 41.3%를 기록했다. 통상 미용 의료기기 업계에서는 1분기는 계절성 등의 영향으로 연중 실적이 가장 낮은시기임에도 불구하고, 2020년 6월 신제품 올리지오(Oligio) 출시.. '셀트리온 고배' 박스터 바이오, 美 사모펀드 품으로 로이터 "워버그·어드벤트 등 42억5천만 달러에 박스터 바이오사업부 인수" [데일리팜=김진구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가 박스터의 바이오의약품 사업부를 42억5000만 달러(약 5조6000억원)에 인수했다. 셀트리온은 이번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인수를 철회했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해외언론 보도에 따르면 워버그 핀커스(Warburg Pincus)와 어드벤트 인터내셔널 (Advent International) 등 사모펀드 그룹은 박스터 인터내셔널과 바이오의약품 사업부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인수금액은 42억5000만 달러다. 두 회사 모두 미국계 글로벌 사모펀드다. 워버그 핀커스는 미국 뉴욕에, 어드벤트 인터내셔널은 미국 보스턴에 각각 본사를 두고 있다. 박스터에서 바이..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