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기반 마련할 추진전략 필요"
필수약 생산비 지원하고 수요 적은 약 국가가 구매
심뇌·응급·난임·소아 등 필수의료 기술도 개발
복지부,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 발표
▲ 조규홍 장관
[데일리팜=이정환 기자] 정부가 제2의 코로나19 수준의 신종 감염병 보건안보 위기가 발생했을 때 100일 내 백신·치료제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의 보건의료기술을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국내 제약사가 제조기술을 보유한 필수의약품 생산비용을 지원하고 수요가 적은 국가필수약은 정부가 구매하는 방식으로 지속 생산을 독려해 다른 축의 보건안보를 튼튼히하는 정책도 편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지난해 242억달러에서 2027년 447억달러까지 확대한다는 의지인데, 병원 인프라 기반 맞춤형 질환 비임상·임상 컨설팅을 강화해 글로벌 신약을 지원하고 국산 바이오 소·부·장 테스트베드 개념의 특화센터를 지정한다.
19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은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모든 국민이 건강한 헬스케어 4.0 시대를 구현한다는 비전이다.
구체적으로 복지부는 최고 기술국 대비 보건의료기술수준을 2022년 79.4%에서 2027년 82.0%까지 높인다. 보건안보 위기 발생 시 100일 내 백신‧치료제 대응시스템을 구축하고 바이오헬스 수출액을 2022년 242억달러에서 2027년 447억달러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은 코로나19 이후 마련되는 보건의료기술 분야 중장기 계획이다.
학계‧산업계‧연구계 등 약 50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민‧관 합동 중장기 전략기획단을 구성하였고, 22년 6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의 총괄위원회와 4차례의 분과위원회를 개최했다.
우선 복지부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개발 투자를 강화한다.
심뇌혈관·응급·중환자 분야 예방‧진단‧치료, 난임 극복과 신생아 환자 생존율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치료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암‧치매 등 위험 질환의 진단‧치료기술을 확보하여 환자와 가족의 삶을 개선한다. 비용효과적인 의료기술을 비교 연구하여 의료비 지출을 효율화시키고, 노인‧장애인의 자립‧재활‧돌봄 등 복지기술을 향상시켜 건강격차 및 불평등을 해소한다.
아울러 보건안보 확립을 위한 백신‧치료제 개발,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에 투자한다.
백신‧필수의약품 기술 자급화, 진단‧치료제 개발 역량 강화 등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R&D 체계를 마련한다.
필수약 안정공급을 위한 제조·품질평가 기술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콜드체인 기술을 고도화 한다.
국내 제약사가 제조기술을 보유한 필수약 생산비를 지원하고 국내 수요가 적은 국가필수약은 지속생산을 위해 정부 구매를 추진한다.
범부처 협력을 통해 감염병 대응‧연구체계를 고도화하고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개발체계를 마련한다.
특히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데이터‧AI 등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해 의료서비스 혁신을 촉진한다. 신약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생산 과정의 디지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첨단재생의료 접근성 제고를 위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의료기기 핵심기술 확보와 사업화를 지원한다.
나아가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를 조성한다. 미충족 의료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중개‧임상연구를 확대하고 R&D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컨설팅·성과 연계 등을 지원한다.
민간 주도 혁신이 활성화되도록 규제 합리화, 인허가등재 절차를 활성화한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경쟁력을 주도하는 산‧학‧연‧병 전문인력, 의사과학자 등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도 지속할 계획이다.
조규홍 장관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보건의료기술의 산업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자국민을 위험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보건안보적 역할도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며 "보건의료 R&D를 통해 다양하고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실현되어, 국민의 생명‧건강을 보호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데일리팜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9303&dpsearch=의료기기
'의료기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뷰노, AI 기반 의료영상 분석 기술 미국 특허 등록 (0) | 2023.04.24 |
---|---|
국내 의료 AI 업계, 중남미 시장 공략 나선다 (1) | 2023.04.24 |
식약처, 마이크로니들 기술문서 작성 안내서 발간 (0) | 2023.04.20 |
시지바이오, 2022년 매출 1,297억 원…전년 比 37% 증가 (0) | 2023.04.20 |
레이저옵텍, 피부 레이저 팔라스프리미엄 FDA 승인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