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기기 정보

국산 의료기기 장비 사용률은 10년새 '제자리'

산 장비 '12년 58.1%→'20년 61.3%로 소폭 증가

"병원-기업 간 연계해 실증사업 통한 사용경험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산 의료기기의 사용 확대를 위해 의료현장에서 국산 의료기기를 접하는 사례가 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를 위해 병원과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임상근거를 단계적으로 축적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성욱 연세대학교 의료기기산업학과 교수<사진>는 3일 국회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의료기기 혁신 성장포럼 발족식 및 토론회에 연자로 나와 이같이 제안했다.

우선 구 교수는 국내 의료기기 무역수지는 최근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음에도 국산 장비의 사용률은 제자리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실제 20년 의료장비 신고 기준 전체 의료기관의 국산 장비 사용률은 '12년 58.1% 대비 '20년 61.3%로 소폭 증가했다.

이에 대해 그는 "우수한 국산 의료기기 제품이 많이 있음에도 사용 경험의 부족, 정확성·신뢰성 및 성능 저하 등을 이유로 국내 상급종합병원에서 사용은 저조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 교수는 그 예시로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를 꼽았다.

초음파영상진단장치는 최근 5년간 생산수출 1위를 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급종합병에서의 사용률은 20.7%에 그친다는 설명.

이에 그는 "혁신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의 의료현장 진입은 어려워지고 기술에 대한 가치도 인정받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허가 후 신의료기술평가 단계에서 임상근거 창출 및 제시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고 말했다.

또 "3, 4등급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의료기기의 개발 투자도 이뤄져야 하는데, 고도화된 기술력을 요하는 의료기기에 대한 인력과 투자도 점점 미흡해지는 실정"이라 덧붙였다.

 

그런 만큼 그는 실증지원 사업을 확대, 임상근거 축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구 교수는 "실질적으로 병원에서 임상 의사들이 많이 사용해야 한다"면서 "병원과 기업이 연계한 지원을 통해 사용자 임상평가를 수행하여 제품의 성능개선과 임상근거 축적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지원 사업도 지속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범부처 의료기기 사업은 지난 2020년에 시작해 오는 2025년 1기 사업을 앞두고 있다. 올해부터는 2기 사업을 위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앞두고 있다.

구 교수는 "의료 난제인 암이나 당뇨, 치매 해결과 차세대 의료기기개발을 위해 범부처 의료기기 사업 과제 수 및 지원 금액 등을 확대하여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김현주 보건산업진흥과장은 종합토론에서 "국내 의료기기 성장 동력을 이어나가기 위해 범부처 의료기기 2기 사업에 대한 예비 타당성도 진행할 예정이다"면서 "의료진이 국산 의료기기 사용 경험이 없다는 부분에 동의하는 만큼, 실증사업을 더욱 많이 해나가겠다. 내년에 기술로 넓혀서 실증지원센터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앞서 국회와 정부, 공공기관, 학계, 산업계 등은 의료기기산업 및 규제 발전을 위한 의료기기 혁신 성장 포럼을 발족했다.

출처 : 메디파나뉴스

국산 의료기기 장비 사용률은 10년새 '제자리' (medipan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