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의료기기 생산·수입·수출 실적 발표
무역수지 3조8593억원...3년 연속 흑자
[데일리팜=이혜경 기자] 에스디바이오센서 , 오스템임플란트가 지난해 생산액 2조원을 돌파했다.
의료기기로 2조원 돌파 업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난 2012년에 생산액 2000억원 이상 제조업체 수가 2개소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지난 10년 간 크게 성장했다.
다만 생산액 상위 2개 업체가 전체 생산액의 30.4%를 차지하고, 수출액 상위 1개 업체가 전체 수출액의 23.6%를 차지하는 등 제조업체 양극화 현상도 심화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은 24일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수입·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https://blog.kakaocdn.net/dn/dXeval/btshial0MTz/JHlT7XreKbGi7BnLgvfuQ0/img.jpg)
지난해 의료기기 무역수지가 29억9000만 달러(3조8593억원) 흑자를 기록하며 2020년 첫 흑자 이후 3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의료기기 생산액은 15조7374억원으로 2021년 대비 22.2% 증가해 역대 최고로 성장했다.
수출액(78억8000만 달러)과 수입액(48억9000만 달러)은 2021년 대비 감소(8.7%, 8.6%) 했으나, 환율상승으로 원화 기준으로는 다소 증가(3.0%, 3.1%)했다.
의료기기 시장 규모 또한 11조8782억원으로 2021년 대비 30.0% 증가해 역대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지난 10년 간 159%의 초고속 성장을 했다.
국내 의료기기 생산액과 시장 규모 증가의 주요 원인은 지난해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국내 코로나 검사키트 생산 증가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생산액은 2021년 2744억원에서 2022년에는 1조4415억원으로 400% 이상 증가했고, 또한 수출액도 2021년 422억원에서 2022년에는 843억원으로 100% 증가했다.
식약처는 지난해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코로나19 검사키트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생산 증대, 원자재 공급 지원 등의 유통 개선조치를 실시해 검사키트가 대량으로 생산 공급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검사키트 등 국산 의료기기 생산 증가로 국내 의료기기 시장에서 국산 의료기기 점유율은 역대 최고인 46.8%로 증가, 수입 의료기기 점유율은 역대 최저로 떨어졌다.
주요 생산품목 중 전년 대비 생산액 증가율이 높은 품목은 코로나19 검사키트, 치과용임플란트, 조직수복용생체재료로 나타났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 확대 적용, 조직수복용생체재료는 성형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 규모와 생산액 증가에 힘입어 의료기기 제조 수입업체 종사자는 지난해 14만5826명으로 2021년 대비 9752명(7.2%) 증가했으며, 특히 생산액 100억원 이상 제조업체 종사자가 더 크게 증가(13.6%) 했다.
지능정보기술, 로봇기술 등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 제품허가가 증가하면서 생산·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 제품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어 국내 디지털의료기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지원책 마련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의료기기 생산은 2020년 6881억원에서 지난해 1조167억원으로, 수출은 같은 해 5억2000만 달러에서 7억4000만 달러로 늘었다.
식약처는 국산 디지털의료기기의 신속한 개발을 지원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등 인허가 종합지원센터를 24일 개소하고,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등 개발 업체를 대상으로 임상시험과 인허가 단계부터 해외시장 진출까지 제품 개발 전주기에 걸쳐 종합적인 기술지원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등 인허가 종합지원센터를 통해 국산 의료기기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제품 경쟁력이 있는 3개 제품군의 30개 품목에 대해 3년 간 수출을 집중 지원하는 K-의료기기 메가(MEGA) 프로젝트(3․3․3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2022년 의료기기 생산·수입·수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www.mfds.go.kr) → 통계 → 통계간행물 → 통계자료 →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입 실적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데일리팜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00519&dpsearch=의료기기
'의료기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x 급여 고심 거듭하는 심평원 "급여 방안은 아직이지만…" (0) | 2023.05.26 |
---|---|
식약처, 개인용혈당측정기 올바른 사용방법 안내 (0) | 2023.05.25 |
"미운오리에서 백조로"…의료AI 기업 주식시장 훈풍 (0) | 2023.05.25 |
스마트잭, '2023년도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1) | 2023.05.25 |
웨이센-강릉아산병원, AI 바우처 업무협약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