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로 보는 의약계 결산④] 비코로나(Non-Covid) 제품 매출 확대 추진
올해 상반기 약 3.3조 원 수출했지만…11월 수출액 1천억 미만으로 하락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체외진단키트 및 진단시약 제조 기업들이 올해도 웃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진단키트 및 진단시약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다.
특히 국내 1위 체외진단키트 제조 기업인 에스디바이오센서는 국내 체외진단업계 처음으로 연매출 3조 원 돌파를 눈 앞에 뒀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진단키트 및 진단시약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국내 상반기 수출액은 26억900만 달러(약 3조3,656억 원)를 기록했다.
하지만 모두가 예상하듯 이들 기업들의 향후 매출 추이에는 먹구름이 짙에 드리워진 상황.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한 방역 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이들 기업들의 매출액 또한 빠르게 악화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역 수지 현황은 통계에서도 바로 나타났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11월 국내 진단키트 수출액은 7,447만 달러(약976억 원)를 기록해 2020년 4월 이후 처음으로 월간 수출액은 1억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오미크론 확산세가 전 세계적으로 정점이던 올해 3월 진단키트 수출액 5억8,400만 달러에서 약 80% 넘게 빠진 수치.
이는 국내 체외진단기업 실적에도 바로 반영됐다.
국내 1위 체외진단키트 제조 기업인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은 5,512억 원으로 올해 1분기 1조3,884억 원 보다 수직 하락했다.
이 회사는 앞서 오미크론이 정점이던 올 상반기에만 약 2조2,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더구나 체외진단키트 국내 제조 기업 중 처음으로 연매출 3조 원 돌파도 유력시됐으나, 하반기 진단키트 수출 저조로 이마저도 불투명해졌다.
실제 증권가에서는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올해 4분기 잠정 실적으로 2,582억 원을 제시하면서 3조 원(2조9,928억 원)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의 올해 3분기 매출은 1,508억 원으로 전년 동기(3,053억 원) 대비 약 절반 넘게 감소하는 파고를 맞았다.
더구나 올해 3분기 누적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7,307억 원으로 전년보다 24%나 감소했다.
엑세스바이오도 올해 1분기 8,061억 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올 3분기 매출액은 130억 원으로 주저앉았다.
신속진단키트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회사 특성상 코로나19 엔데믹 기조로 진단키트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휴마시스 역시 올해 1분기 3264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올 3분기 24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수젠텍도 올해 1분기 매출 679억 원을 올렸지만, 올 3분기 매출은 87억 원으로 급감했다.
이에 이들 기업들은 코로나 특수는 잊은 채 '비코로나(Non-Covid)' 제품 매출 확대를 위한 진단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이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최근 충청북도 증평군에 신속분자진단기기 스탠다드 엠텐(STANDARD M10) 생산을 위한 공장을 준공했다.
M10은 코로나19 검사뿐만 아니라 Flu/RSV/SARS-CoV-2 동시 검사, 결핵, 독감(Flu), 자궁경부암, 장염 등 다양한 질병 검사 메뉴를 제공한다.
또 에스디바이오센서 관계사 바이오노트는 코스피 상장을 통해 바이오 컨텐츠 및 동물 진단 부문 신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바이오노트는 에스디바이오센서에 키트 원료를 공급하는 회사로 코로나19 진단키트 반제품의 매출 비중은 전체의 79.34%를 차지한다.
씨젠 역시 올해 들어 비코로나제품 매출 확대에 나서는 한편, 기업 인수합병(M&A)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둬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겠다는 계획이다.
그 결과 씨젠은 올해 비코로나 부문에서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소화기감염증(GI)과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성매개감염증(STI) 등 비코로나 진단시약 올해 누적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120억 원을 기록한 것이다.
아울러 휴마시스도 당뇨클리닉 특화 장비 'HUBI DIA' 등으로 사업 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수젠텍은 알레르기 진단과 현장진단, 당뇨, 호르몬 관리 등의 진단 플랫폼을 확장 중이다.
출처 : 메디파나뉴스
'의료기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로슈진단, '네비파이 튜머보드'로 강원대병원 다학제 진료 지원 (0) | 2022.12.22 |
---|---|
뷰노메드 딥카스™, 소아청소년 대상 병원 내 심정지 예측 성능 입증 (0) | 2022.12.22 |
디티앤씨알오 "하반기만 풀서비스 수주 6건, 100억 규모" (0) | 2022.12.21 |
한국오므론헬스케어, 가정혈압 관리 모바일 앱 개편 (0) | 2022.12.20 |
메드트로닉, 한국 신임 대표에 유승록 사장 임명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