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상태 악화 예측 통한 진단 돕는 바이탈케어 출시
의료진 업무 효율화 높이고, 환자에게 더 나은 의료서비스 제공
의료 인공지능(AI) 기술이 영상진단 기술을 넘어 모니터링 솔루션으로 확장되고 있다.
에이아이트릭스(대표이사 김광준, 유진규)는 환자의 상태 악화 예측을 통해 진단을 돕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인 'AITRICS-VC(이하 바이탈케어)'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에이아이트릭스는 출시를 기념해 지난 7일 서울 레스케이프 호텔에서 'New Pathways of Healthcare(헬스케어의 새로운 길을 열다)'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바이탈케어는 중환자실 환자의 6시간 이내 사망, 일반 병동 환자의 6시간 이내 사망, 예기치 않은 중환자실 전실, 심정지 및 4시간 이내 패혈증 발생 위험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이에 회사 측은 지난 10월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
특히 바이탈케어는 국내 최초 및 유일하게 일반 병동 내 패혈증, 사망, 예기치 않은 중환자실 전실에 대한 예측 성능과 중환자실에서 사망 발생 예측 성능을 입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바이탈케어 개발에 참여한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정경수 교수가 연자로 나서 '의료진 관점에서의 환자 상태 조기 예측의 중요성 및 바이탈케어의 허가 의의'에 대해 소개했다.
정 교수는 "병원 내 중증 환자를 적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의 경험 축적과 많은 의료 인력이 필요하다. 특히 특정 응급 상황이 발생하기 전 위험 요인을 미리 예측해 의료진이 상황에 대응할 준비를 도와주는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임상 현장 내 미충족 수요가 높았다"라며 "에이아이트릭스의 바이탈케어는 원내 의료진들에게 환자들의 발생 예측 시점과 임상적 원인을 해석해 주고, 적절한 의료 자원을 배분해 줌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에이아이트릭스 메디컬에이아이 부문 안병은 총괄이 발표를 맡아 '바이탈케어의 임상적 혜택 및 가치'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바이탈케어의 식약처 허가 근거가 된 3건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일반 병동에서의 급성 중증 이벤트(사망, 중환자실 전실, 심정지), 패혈증, 중환자실에서의 사망 예측 정확도(AUROC: Area Under ROC Curve)는 각각 0.96, 0.87, 0.98로 기존의 환자 평가 방식인 조기경보점수(NEWS Score) 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안 총괄은 "바이탈케어는 촌각을 다투는 의료 현장 내 의료진들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바이탈케어는 사용자 편의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며 "이번 식약처 허가를 발판 삼아 바이탈케어의 성능 고도화 및 병동 확장을 위해 다양한 연구 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blog.kakaocdn.net/dn/lzwua/btrTaNnm01g/uXSoW5glV9le1LN3MJPCJk/img.jpg)
김광준 대표<사진>는 "앞으로도 의료진에게는 치료 가능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들에게는 보다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이아이트릭스는 바이탈케어의 신의료기술 평가 유예 및 FDA 승인 또한 진행 중에 있다.
출처 : 메디파나뉴스
'의료기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노트 "동물 진단 시장서 글로벌 Top3 기업으로 도약" (0) | 2022.12.09 |
---|---|
지노믹트리, 방광암 조기진단키트 '얼리텍B' 美 수출 가시화 (0) | 2022.12.09 |
파마리서치, DOT® PDRN/PN 특허 무효소송 최종 승소 (0) | 2022.12.08 |
"내년 의약품 수출성장률 15%는 보수적 전망치" (0) | 2022.12.08 |
보건산업 255억불 수출…바이오시밀러 등 23.9% 껑충 (0) | 2022.12.08 |